전공교육부
센터소개
영어교육센터 소개
2019년 영어 졸업인증제도 | 2019년 영어 졸업인증제도 |
---|---|
2020년 교과과정 | 2020년 교과과정 |
2021년 교과과정 | 2021년 교과과정 |
교육목적
자기주도적 영어학습 습관을 배양함으로, 자신의 필요에 맞게 독립적으로 영어를 활용할 수 있는 자율적 영어 활용인을 양성하고, 타 문화와 사회를 이해하는 글로벌 비전을 함양함으로 실천적 전문인의 기초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교육목표
1. 영어 자료를 독립적으로 이해, 수집 및 활용함으로 주어진 문제의 해결책을 다각적이며 공의적인 관점에서 분석 및 해결하는 능력을 신장함
2. 타 문화 및 사회에 대한 이해에 기초하여 개방성과 창의성을 기르고 다각적 관점으로 사물을 이해하는 능력을 함양함
3. 주어진 목표과제의 성공적 완료를 위해 평생학습자로써 자신의 강.약점을 파악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자기주도적 영어학습능력을 신장함
교과운영
1. 수준별 교양영어 - 입학 전 사전 테스트로 반배정을 실시하여 전 학기동안 본인의 수준에 맞게 진행되는 맞춤식 교양영어교육과정
2. 매학기 교내 토익시험 - 매학기 시행되는 토익시험으로 실력의 향상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학습 동기를 부여
3. 학생중심 원칙 - 학습 활동에서 학생 참여 및 주도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학습평가를 학생의 학습결과 중심으로 실시
4. 실천성 강화 - 세계의 다양한 이슈들을 공의적 관점에서 이해 및 분석하도록 유도함으로 건전한 세계시민으로써의 실천력 강화
교육과정
이수구분 | 학수번호 | 과목명 | 학점 | 이수권장 | 시간수 | 비고 | |||
---|---|---|---|---|---|---|---|---|---|
학년 | 학기 | 이론 | 실습 | ||||||
교양 필수 |
2019 이후 |
GE509 | 영어I | 3 | 1 | 1 | 3 | 0 | |
GE510 | 영어II | 3 | 1 | 2 | 3 | 0 | |||
2019 이전 |
GE346 | 영어III | 3 | 2 | 1 | 3 | 0 | 사이버강좌로 대체운영 |
|
GE512 | 영어IV | 3 | 2 | 2 | 3 | 0 | |||
교양 선택 |
GE544 | 실용영어I | 3 | 전체 | 1 | 4 | 0 | ||
GE545 | 실용영어II | 3 | 전체 | 2 | 4 | 0 | |||
GE545 | 실용영어III | 3 | 전체 | 계절학기 | 4 | 0 | |||
GE545 | 영어연습I | 2 | 전체 | 1 | 3 | 0 | |||
GE545 | 영어연습II | 2 | 전체 | 2 | 3 | 0 |
* 실용영어 (절대평가) & 영어연습 (Pass/Fail): 원어민 수업으로 15명 이내의 소규모 강좌임
1. 영어 교과목은 수강 학생의 수준에 따라(레벨1~4) 일괄 반 배정
단. 회화기반의 원어민 말하기 수업 선택가능
2. 실용영어 교과목(I~III)은 영어I 혹은 영어II를 대체할 수 있음
3. 토익 고득점자는 아래와 같이 교과과정을 면제받을 수 있음
• 토익 800점 이상자는 영어교육센터 인터뷰 후 영어I~II 면제
• 2학기 개강 전에 토익 600점 이상 제출 시 영어II 수업 면제
트랙재운영(Track)
영어 수업은 교양필수로 진단테스트 후에 일괄 배정되며 두 개의 track으로 운영함
• Track A: 읽기에 기반한 말하기와 쓰기(수강신청 필요 없음)
• *Track B: 듣기에 기반한 말하기와 쓰기(**영어I-E 혹은 영어I-F 반으로 수강신청 필요)
*Track B 수업은 영어I-E와 영어I-F 분반에서 진행되며 수업의 특징은 아래와 같음
- 원어민 교수에 의해 전 수업이 영어로 진행됨
- 각 수업의 최대 수강인원은 30명으로 총 60명이 신청 가능함
- 반 배정은 영어진단테스트 후에 조정하여 일괄 배정함 (수강을 희망하는 경우 E와 F 중 하나를 선택하여 신청)
- 1학기에 신청한 Track은 1년간 진행
교육과정
1학년 신입생 대상 | Track1: 읽기에 기반한 말하기와 쓰기 (수강신청 필요 없음, 진단테스트 후 일괄배정) |
Track2: 듣기에 기반한 말하기와 쓰기 (수강신청 필요) 각 30명씩 총 60명 모집 → 영어진단테스트 후 반 조정 → 영어I E, F반으로 배정 |
정기모의토익
1. 영어교육센터에서는 매학기 12주차에 정기적으로 영어실력 모니터링을 위해 모의토익을 실시함
2. 정기모의토익에서 성적 향상자에게 소정의 장학금을 지급함(장학금과 수혜자 수는 장학 재정에 따라 변동)
English Chat
1. 소개: 영어활용능력 신장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특정주제에 대해 영어 토론을 수행함으로 영어활용능력을 심화할 수 있도록 지원함
2. 운영: 원어민 교수가 1:1 혹은 4~5명 이하의 소규모 그룹으로 세션을 진행함
3. 신청방법: English Chat Google Classroom을 통해 신청 [수업코드는 학기별로 변경됨]
교수소개
교수명 | 오은주 조교수 | 연구실 | 일립관 518호 |
---|---|---|---|
전화번호 | 02-950-4328 (내선: 4328) | eunjouoh@bible.ac.kr | |
전공 | 영어교육, 측정 및 평가 | ||
과목 | 교양영어( 영어Ⅰ,영어Ⅱ,영어Ⅲ, 영어Ⅳ), 세계시민되기 저서 및 연구논문 | ||
학력 |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영어교육 박사)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영어교육 석사)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교육 측정, 통계 및 평가 석사수료) |
||
경력 |
(현) 한국성서대학교 영어교육센터장 서울시립대학교 객원교수 (2012-2014) 성균관대학교 번역 TESOL 대학원 초빙교수 (2013-2014) 한동대학교 교육개발센터 선임연구원 (2010-2011)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TA & RA (2005-2010) 연변과학기술 대학교 전임강사 (2001-2004) |
||
연구논문 |
Oh, E.J. (2019). PISA 2018 글로벌 역량 모형에 근거한 세계시민교육 융합 교양영어수업 사례연구, 14(4), 431-460. Oh, E.J. (2019). Learners' Perceptions in a Scaffolded Task of Reading Online Media Articles in College English Classes. Multimedia-Assisted Language Learning, 22(1), 85-111. Oh, E.J. (2018). Relationships among Out-of-Class Learning, Self-Regulation, Self-Efficacy, and L2 Comprehension Skills, English Language Teaching, 30(2), 43-66. Oh, E.J. (2017). Exploratory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Out-of-Class Learning and Korean EFL Students' Listening, Reading and Grammar Knowledge. English Language & Literature Teaching, 23(3), 89-107. Oh, E.J. (2017). The Effect of Peer Teaching via Flipped Vocabulary Learning on Class Engagement and Learning Achievements. Multimedia-Assisted Language Learning, 20(3), 105-127. Oh, E.J. (2016).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Self-Efficacy, Vocabulary and Grammar Knowledge, and L2 Reading Proficiency. English Teaching, 71(2), 3-29. Oh, E.J. (2016). Comparative Studies on the Roles of Linguistic Knowledge and Sentence Processing Speed in L2 Listen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in an EFL Tertiary Setting. Reading Psychology, 37(2), 257-285. Oh, E.J., & Kim, H.K. (2015). Exploring a Reading-Based Speaking Task for Developing Fluency in an EFL Tertiary Setting. Foreign Language Education, 22(2), 169-195. Oh, E.J., Lee, J.M., & Moon, Y.I. (2015). The Contribution of Planning, L2 Linguistic Knowledge, and Individual Differences to L2 Writing. Journal of Asia TEFL, 12(2), 45-85. Oh, E.J. (2014). Exploring a Theory-Based Model of L2 Reading Comprehension: CI Model for L2 Reading Comprehension. Korean Journal of Applied Linguistics, 30(3), 151-177. Oh, E.J., & Lee, J.M. (2014). The Role of Linguistic Knowledge and Listening Strategies in Bottom-up and Top-down Processing of L2 Listening. English Teaching, 69(2), 149-173. Lee, J.M., & Oh, E.J. (2014). Exploring the Effects of a Learner Response System on EFL Reading. Multimedia-Assisted Language Learning, 17(2), 130-151. Oh, E.J. (2012). Exploring Language Threshold Effect and Its Differential Manifestation in Different Measurement Tools. English Teaching, 67(4), 219-239. Oh, E.J. (2011). A Review on a Construct of Working Memory and Its Role in L1 and L2 Reading Comprehension. English Teaching, 66(1), 3-22 |
||
수상 |
2018년 우수논문상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Relationships among Out-of-Class Learning, Self-Regulation, Self-Efficacy, and L2 Comprehension Skills 2014년 우수논문상 (한국응용언어학회) Exploring a Theory-Based Model of L2 Reading Comprehension: CI Model for L2 Reading Comprehension |
교수명 | Susan Elizabeth (Liezel) Nel | 연구실 | 원어민연구실(Illipkwan 510) |
---|---|---|---|
전화번호 | 02-950-5549 (내선: 5549) | susan@bible.ac.kr | |
전공 |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 ||
과목 | 교양영어(영어Ⅰ,영어Ⅲ,영어Ⅳ), 실용영어Ⅰ, 영어연습Ⅰ,영어연습Ⅱ 저서 및 연구논문 | ||
학력 |
Business Psychology and English(B.A) English Literature (Post-modern Fiction)(B.Hons) English Linguistics (Translation Studies)(M.A) |
||
경력 |
Translator and editor at DeKat magazine (2011) Public school teacher with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2011-2014) Assistant Professor at Korean Bible University (2014-) |
||
연구논문 | Achieving equivalence in literary translation from Afrikaans to English: Kaburu by Deon Opperman. |